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공무원 모성보호시간과 일반 근로자 모성보호시간의 차이와 신청 방법을 비교 정리했습니다. 빠르게 비교표와 신청 절차를 보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.
👩⚕️ 모성보호시간이란?
임신기 여성의 건강과 태아 보호를 위해 하루 근로시간을 단축해 주는 제도입니다. 일반 근로자는 근로기준법 제74조, 공무원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제19조의 3과 지방공무원 복무규정 제11조의 3에 근거합니다.
📊 공무원 vs 일반 근로자 모성보호시간 비교
구분 | 일반 근로자 | 공무원 |
---|---|---|
법적 근거 | 근로기준법 제74조 | 국가공무원법·지방공무원법 복무규정 |
대상 | 임신 중 모든 여성 근로자 | 임신 중 모든 여성 공무원 |
단축 시간 | 임신 12주 이내·36주 이후: 1일 2시간 / 그 외: 1일 1시간 | 임신 전 기간: 1일 2시간 (필요시 의사 소견 따라 조정 가능) |
급여 | 단축 시간 전액 유급 | 전액 유급, 인사기록상 근무시간 정상 처리 |
사용 기간 | 임신 기간 중 자유롭게 사용 가능 | 임신일부터 출산 전일까지 |
신청 절차 | 임신 진단서 + 신청서 → 사업주 승인 | 임신 진단서 + 모성보호시간 신청서 → 소속 부서장 승인 |
특징 | 사업장 규모와 관계없이 적용 | 근무표 조정, 회의·외근 면제 등 추가 배려 가능 |
🔗 같이 보면 좋은 글
육아 휴직 복지정책 살펴보기 #1
육아휴직 급여신청 총정리 👆 육아휴직 급여 계산기 총정리 👆 육아 복지 정책 총정리 👆
third.free-insight.com
임신출산 복지정책 둘러보기 #1
임신 검진 동행 휴가 총정리 👆 예비 아빠 복지정책 총정리 👆 임산부 진료시간 보장제도 정리 👆
third.free-insight.com
✅ 마무리 멘트
공무원이든 일반 근로자든, 모성보호시간은 법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. 다만 공무원은 더 긴 기간,
더 넉넉한 단축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임신기의 건강과 안전, 그리고 아기를 위해 꼭 챙기세요. 🌷
반응형